반응형
한국은행 사상 첫 빅스텝
원래 기준금리는 0.25%p씩 올랐는데,
이번에는 0.5%p로 2배 올랐습니다.
물가상승률을 막기 위해서죠
기준금리가 오르면,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
이자부담이 상승됩니다.
변동금리 대출자의 이자부담이 더 커집니다.
(대출자 중 변동금리 비중 약 77%)
주담대(주택담보대출) 최고 연 7%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되면 평균 맞벌이 기준 한명의 수입은 고스란히 은행에 줘야하는 상황이 생기는 거죠.
7% 금리로 4억 대출시 지난해 대출 초기에는 약 130만원이였던
월 이자 부담을 매달 270만원 갚아야 합니다.
전세의 월세화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부분이 변동금리인 전세자금대출이 영향을 받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더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의 전세집을 월세화로 돌리는 것)
기존과 달라진 점
사실 전세의 월세화는 예전부터 있어온 현실입니다만,
달라진 점은 세입자들이 월세를 선호하게 되었다는 것,
왜냐? 전세대출이자가 월세보다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뿐만아니라, 매수심리도 감소됩니다.
금리인상 -> 매수심리 하락->부동산거래감소->집값하락(?)
이 시점에서 우리가 놓치면 안되는 부분
*기준금리인상에 따라 투자, 대출 계획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기준금리인상으로 높아진 은행 예적금 금리도 검토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J부장의 부동산정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8/16 부동산대책 국민주거안정실현방안 핵심 발표 정리 (16) | 2022.08.18 |
---|---|
종부세 세율 조정, 종부세 세부담 상한 조정, 종부세 기본공제금액 상향, 1가구1주택자 종부세 특별공제 (5) | 2022.07.22 |
6.21 부동산 정책 부동산 대책 주요 핵심 내용 정리 (1) | 2022.06.23 |
윤석열대통령 새정부 경제정책 부동산 세제 개편 4가지 정리 (5) | 2022.06.19 |
분양가상한제 폐지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12)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