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거주 하는 분들 필독 월세 돌려받는 법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이번시간에는 월세 세액공제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려고 하는데요, 연말정산시 꼭 신청해야하는 월세 세액공제, 부린이분들께서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혼동하시는데요,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고 소득자 라면 소득공제 혜택을 저 소득자 라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게 유리합니다. *세액공제란 = 세액이 산출된 후, 세액의 일부를 차감해주는 제도 연봉 5,500만원 이하인 직장인의 경우 공제율 12%, 최대 90만원 까지 지원 연봉 5,500만원 이상인 직장인의 경우 공제율 10%, 최대 75만원 까지 지원 ex) 연봉 4천만원의 직장인이 한달에 월세를 50만원 낼 경우, 50만원 x 12개월 x 12% = 72만원 * 필요한 서류 1. 주민등록등본 2. 임대차계약서(계약서사본) 3...
2021. 12. 22.
전세보증금사기, 전세보증금 지키는 법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요즘 전세보증금을 떼먹었다니, 사기를 당했다니 하는 소리를 SNS 인터넷 주변 지인들을 통해 듣곤하는데요, 그렇다면, 전세보증금을 지키는 방법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려고합니다. 전세보증보험 전세보증보험은 전세 계약 종료 후에,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때, 보험기관이 세입자에세 전세금을 먼저 돌려준 뒤에 집주인에게 다시 돌려받는 제도. 전세 계약을 앞둔 분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켜야 한다라는 걱정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근저당이 없는 집을 계약하고, 계약 기간을 잘 지키는 착한 임대인을 만나는 것인데, 그게 말처럼 쉽지않습니다. 전세보증보험 종류 종류 보증금액 SGI 아파트 제한 없음. 일반 주택 10억원 이하 HUG 수도권 7억원 이하..
2021. 12. 7.
갭(Gap)투자란? 갭투자하는 법?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이번에알아볼주제는 갭(Gap)투자인데요, 갭(Gap)투자란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부동산 투자방식. 우선 우리는 왜 갭투자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알아봐야합니다. 과거에 갭투자는 말그대로, 투자의 목적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 투자용으로 많이 이루어졌습니다. 대출을 받아 투자하는 방식, 레버리지 투자와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 융자이자 비용이 발생하지않아, 이 점이 투자자들도 하여금 큰 메리트로 여겨졌습니다. 높은 전세가율을 이용해 소액투자를 할 수있다는 장점,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것을 전제로 투자하는 투자법으로, 환금성이 높은 물건을 투자해 위험성을 줄이고 변수를 대비해 자금을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요즘, 근..
2021. 11. 9.
3기 신도시 관련 정보 Q&A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3기 신도시에 대한 반응이 뜨거운데요, 예전 3기 신도시관련 저의 게시물을 많이들 찾아주셔서, 2021.10.18 - [3기 신도시 관련 정보/3기 신도시 2차 사전청약]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방법, 반응, 세부내용 공유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방법, 반응, 세부내용 공유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저번 10월 15일 3기신도시 2차 사전청약이 떴는데요, 1차 때보다 입지도 좋고 물량도 많아 청약대기자들의 관심이 뜨거울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부린이분들을 위한 사 homejo123.tistory.com 이번에는 좀더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보고자 다시 한번 3기신도시관련 글을쓰게 되었습니다. 3기 신도시 2차 공공분양이 10/25일 시작되었는데요, 자세한 내용 시작해볼까요 ..
2021. 10. 26.
① 맹지란 무엇인가? 맹지 정의. 토지구매, 땅투자하기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J부장입니다 :) 이번에는 맹지에관하여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맹지의 존재를 알고계신분들이라면, 땅 구매, 투자를 계획하시고 있거나, 이미 구매하신분들이실텐데. 제가 예전에 정리한, 땅 투자 토지구매전 한번 읽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https://homejo123.tistory.com/66?category=940320 땅 투자, 토지 구매 전 제발 반드시 먼저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J부장 입니다 :) 이번에 알아볼것은 토지, 땅 인데요, 일반 부동산처럼 토지도 하나의 움직이지않는 나의 자산이 될 수 있는데, 처음 접해봐서, 혹은 생소해서 많은 분들이 생각을 안 homejo123.tistory.com https://homejo123.tistory.com/68?category=94..
2021. 10. 4.